2007년11월4일(주일) - 연중 제31주일 > 복음 묵상

백삼위 한인성당
  • 복음 묵상

복음 묵상

[] 2007년11월4일(주일) - 연중 제31주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 작성일 : 2007-11-03 조회수 : 2,031

본문

◎ 연중 제31주일 (다해) [오늘의 복음] 루카 19,1-10 <사람의 아들은 잃은 이들을 찾아 구원하러 왔다.> 1) 예수님께서 예리코에 들어가시어 거리를 지나가고 계셨다. 2) 마침 거기에 자캐오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세관장이고 또 부자였다. 3) 그는 예수님께서 어떠한 분이신지 보려고 애썼지만 군중에 가려 볼 수가 없었다. 키가 작았기 때문이다. 4) 그래서 앞질러 달려가 돌무화과나무로 올라갔다. 그곳을 지나시는 예수님을 보려는 것이었다. 5) 예수님께서 거기에 이르러 위를 쳐다보시며 그에게 이르셨다. “자캐오야, 얼른 내려오너라. 오늘은 내가 네 집에 머물러야 하겠다.” 6) 자캐오는 얼른 내려와 예수님을 기쁘게 맞아들였다. 7) 그것을 보고 사람들은 모두 “저이가 죄인의 집에 들어가 묵는군.” 하고 투덜거렸다. 8) 그러나 자캐오는 일어서서 주님께 말하였다. “보십시오, 주님! 제 재산의 반을 가난한 이들에게 주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다른 사람 것을 횡령하였다면 네 곱절로 갚겠습니다.” 9)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셨다. “오늘 이 집에 구원이 내렸다. 이 사람도 아브라함의 자손이기 때문이다. 10) 사람의 아들은 잃은 이들을 찾아 구원하러 왔다.”◆ [복음산책] 바로 ‘오늘’이 구원의 날이다. 공관복음이 모두 보도하는 예리고의 소경치유사화(18,35-43)에 이어 루카는 오늘 단독으로 ‘예리고 출신 자캐오의 구원사화’를 전하고 있다. 예리코는 요르단 강 남서쪽, 예루살렘 북동쪽 36Km 지점, 요르단 강이 사해(-395m)에 합류하는 북서쪽 15Km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지중해의 해수면보다 250m 낮은 아주 비옥한 땅이었다. 예수님 시대의 팔레스티나 지도를 보면 예리코는 사마리아, 베레아, 이두매아 지방을 서로 이어주는 경계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유다지방의 수도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예리코에는 지방간의 교역을 감시하면서 세금을 징수하는 많은 세관들이 있었고, 오늘 복음의 주인공인 자캐오는 이들 세관들을 모든 관장하는 세관장으로서 돈 많은 부자였다. 자캐오는 돈 많은 부자로서 물질적인 풍요를 누릴 수는 있었지만, 영적으로는 늘 불안한 삶을 살아야 했다. 당시 세관원은 지방영주로부터 관세 징수권을 위임받은 민간인들로서 계약에 따라 보수를 받았다. 그러나 세관원은 이방인들과 자주 접촉해야 하고 개별적으로 지정액 이상의 관세를 매겨 부당하게 치부했기 때문에 대부분이 양심을 속이는 죄인 부류에 속해 있었으며, 정직하다 하더라도 직업상 죄인 취급을 받아야 했다. 따라서 유대교의 신앙을 제대로 따르고 올바로 살기 위해서는 이 직업을 버려야 했다. 하지만 먹고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일, 자캐오가 예리코의 모든 세관들을 관장하는 세관장이었다면 그가 유대인들로부터 얼마나 큰 죄인으로 취급받았을 것인지는 가히 짐작이 간다. 그런데 오늘 그에게도 구원의 날이 들이닥쳤다. 예수님께서 그를 만나 주신 것이다. 물론 자캐오 스스로도 그 만남을 위해 노력하였다. 키가 작은 자캐오가 군중에 둘러싸인 예수님을 만난다는 것은 쉽지 않았다. 해서 자캐오는 예수님께서 지나가실 길목을 미리 잡아 돌무화과나무 위에 올라가 있었던 것이다. 자캐오의 모든 처지를 한눈에 알아보신 예수님께서 오늘 그에게 구원을 선사하신다. “자캐오야, 얼른 내려오너라. 오늘은 내가 네 집에 머물러야 하겠다.”(5절) 예수님께서 ‘오늘’이라고 말씀하시면 인간의 역사 안에 분명히 새롭고 놀라운 일이 일어난다. 루카복음에만도 이러한 장면이 여러 번 있다. 그 구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늘 너희를 위하여 다윗 고을에서 구원자가 태어나셨으니, 주 그리스도이시다.”(2,11) “오늘 이 성경말씀이 너희가 듣는 가운데에서 이루어졌다.”(4,21) “자캐오야, 얼른 내려오너라. 오늘은 내가 네 집에 머물러야 하겠다.”(19,5) “오늘 이 집에 구원이 내렸다. 이 사람도 아브라함의 자손이기 때문이다.”(19,9) “내가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너는 오늘 나와 함께 낙원에 있을 것이다.”(23,43) 예수님을 만난 자캐오에게 ‘오늘’은 구원의 날이지만, 오늘의 표징을 읽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불평과 불만의 날이 될 수도 있다.(7절) 그렇다고 구원의 ‘오늘’이 아무에게나 선사되지는 않는다. 죄인으로 취급받았고, 또 그래서 죄인일 수도 있는 자캐오처럼 재물의 사회에로의 환원과 부당한 착취에 대한 보상(8절)이 선행되어야 구원의 ‘오늘’이 선사되는 것이다. 즉 회개가 하느님 구원의 선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회개를 결심하고 실행하는 사람은 기쁠 수밖에 없으며, 이를 두고 하늘에서는 더 기뻐할 것이다.(15,7) 예수께서 자캐오를 보시며 “오늘 이 집에 구원이 내렸다.”(9절)고 하셨듯이 이 구원의 ‘오늘’은 비단 자캐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