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3월14일(수) - 사순 제3주간 수요일 > 복음 묵상

백삼위 한인성당
  • 복음 묵상

복음 묵상

[] 2007년3월14일(수) - 사순 제3주간 수요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 작성일 : 2007-03-15 조회수 : 2,367

본문

◎ 사순 제3주간 수요일 [오늘의 복음] 마태 5,17-19 <스스로 계명을 지키고, 또 그렇게 가르치는 이는 큰사람이라고 불릴 것이다.> 17) “내가 율법이나 예언서들을 폐지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마라. 폐지하러 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완성하러 왔다. 18)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하늘과 땅이 없어지기 전에는, 모든 것이 이루어질 때까지 율법에서 한 자 한 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19) 그러므로 이 계명들 가운데에서 가장 작은 것 하나라도 어기고 또 사람들을 그렇게 가르치는 자는 하늘나라에서 가장 작은 자라고 불릴 것이다. 그러나 스스로 지키고 또 그렇게 가르치는 이는 하늘나라에서 큰 사람이라고 불릴 것이다.”◆ [복음산책] 가르치는 자는 먼저 행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 기원전 1250년경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집트의 종살이로부터 탈출시켰고, 약속의 땅 가나안을 향하여 대장정의 길에 올랐다.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 땅에서 나온 지 석 달째 되는 초하룻날 그들은 시나이 광야에 이르렀다. 이곳 시나이 산에서 모세는 야훼 하느님으로부터 십계명을 비롯한 율법을 내려 받았고, 이스라엘 백성은 야훼의 백성으로 하느님과 계약을 맺었다. 이 계약과 율법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탈출기 19장-24장이 담고 있다. 구약(舊約)에 의한 모든 율법은 예수님 당대에 이르러 248개의 행령(‘하라’는 법)과 365개의 금령(‘말라’는 법)으로 발전되었다. 이제 새로운 계약을 앞두고 구약과 율법에 대한 예수님의 생각이 밝혀진다. 예수님께서는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글자그대로 꼭 지켜야 할’ 율법을 내려 받던 입장과는 달리 ‘율법을 지킨다는 것’이 무엇인지, 입법자(立法者)의 입장에서 율법의 정신과 참뜻을 밝히려 하신다. 이것이 바로 마태오복음에 나타나는 예수 가르침의 진수인 산상설교(5장-7장)이다. 산상설교의 권두에서 참된 행복의 길을 가르치시고(5,3-12), 제자들더러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건실히 유지하고 밝히는 는 소금과 빛이 되라고 하신(5,13-16) 예수님께서는 이제부터 진정한 율법완성의 길을 보여주실 것이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다. “내가 율법이나 예언서들을 폐지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마라. 폐지하러 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완성하러 왔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하늘과 땅이 없어지기 전에는, 모든 것이 이루어질 때까지 율법에서 한 자 한 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17-18절) 이로써 예수님의 구약율법에 대한 태도는 명확하다. 예수님께서는 구약의 율법을 통하여 이미 준비되고, 시작된 하느님의 원초적인, 동시에 결코 곡해되지 말아야 할 의지를 성취하고자 하시는 것이다. 율법 속에 담겨있는 하느님의 본질적인 정신과 의지가 무엇인지는 차후 6개의 대당명제와 이를 결론짓는 황금률(7,12)로 선포된다. 산상설교의 가르침은 결국 예수님께서 주시는 새로운 계명과도 같다. 그분은 새로운 계명을 통하여 구약의 율법 하나하나에 담겨있는 하느님의 정신과 그 참뜻을 밝혀 주신다. 이것이 바로 율법과 예언서의 말씀을 하나도 없애지 않고 완성하는 길이다. 율법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예수님께서는 율법의 한 자나 한 획에 집착하지 않고 이를 심화시키시고, 때로는 과감하게 이를 폐기시키기도 하실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수께서 가르쳐 주시는 새로운 계명과 율법의 정신을 먼저 지키고 행하면서 다른 사람들도 행하도록 가르치는 일이다. 오늘 복음의 마지막 두 구절(19-20절)은 마태오복음이 율법에 대한 예수님의 기본노선을 산상설교 첫 부분에 언급하고 있는 이유를 밝히고 있다. 마태오복음서의 독자가 대부분 유대교 출신의 그리스도인이거나 유대교로부터 개종한 신자라는 사실은 이미 다 알고 있는 바이다. 동시에 이 사실은 마태오복음 공동체 안에 구약의 율법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이 있었다는 사실도 말해준다. 예를 들면, ① 구약의 율법이 종말에 이르기까지 유효하다는 입장, ② 유대교 율법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 또는 ③ 예수께서 주시는 새로운 계명만이 오직 유효하다는 입장 등이 그런 것이다. 물론 마태오복음이 견지하는 입장은 세 번째의 지론이다. 그렇다고 다른 입장을 무시하지 말라는 것이다. 따라서 신약의 계명을 지키면서 스스로 구약의 율법을 어기고, 또 어기도록 남을 가르치는 자는 하늘나라에 들기는 하되, 가장 작은 사람으로 대접을 받게 된다는 결론이다. 사순시기를 보내는 우리들의 자세를 돌아보면 오늘 복음의 마지막 두 구절이 참으로 마음에 와 닿는다. 사순시기는 분명히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음식과 언행을 삼가며 부정을 멀리하고 자선과 기도와 단식하는 일로서 다가올 부활축제를 준비하는 재계(齋戒)의 시기이다. 그런데 우리는 어떠한가? 금육(禁肉)이 규정된 금요일에 ‘몰랐다’, ‘까먹었다’, ‘외